2025 조선주ETF 투자 가이드 – 구성 종목부터 전략까지 한 번에

안녕하세요 저는 2년 전에 조선주 한 종목에 투자했다가 -60%를 두드려 맞고 팔아버린 안 좋은 기억이 있습니다. 그 경험을 발판 삼아 조선주를 열심히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왜냐하면 최근 주식시장에서 조선주ETF가 주목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경기 회복, 친환경 선박 전환 가속화, 그리고 주요 조선사의 실적 호조가 맞물리면서 조선 업종 전반이 활기를 띠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거래되는 대표적인 조선주ETF와 각각의 특징, 그리고 투자 전략까지 차근차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조선주ETF, 왜 주목받을까?

조선업은 경기 회복과 함께 교체 수요가 늘어나면서 슈퍼사이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 선박 발주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조선 업종 전체에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는 조선주ETF는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리스크를 줄이고, 업종 성장 수혜를 온전히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2. 2025년 주요 조선주ETF와 특징

2025년 현재 국내에 상장된 대표 조선주ETF는 다음과 같습니다.

ETF명투자 테마주요 특징
TIGER 조선TOP10조선 상위 10개 종목최근 1개월 수익률 30.8%로 업계 최고
SOL 조선TOP3플러스 (466920)대형 조선 3사 + 밸류체인 종목1개월 수익률 30.7%, 지수는 FnGuide 조선 TOP3 Plus 사용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조선 + 해운, 액티브 운용1개월 수익률 26.6%
HANARO Fn조선해운조선 + 해운, 패시브 운용1개월 수익률 22.8%

3. 최근 수익률 흐름

올해 8월 기준 TIGER 조선TOP10이 1개월 수익률 30.8%로 가장 높은 성과를 냈습니다.
그 뒤를 SOL 조선TOP3플러스가 30.7%로 근소하게 따라왔고,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HANARO Fn조선해운도 각각 26.6%, 22.8%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의 배경에는 미국과 한국의 조선업 협력 확대,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주요 조선사의 실적 개선 등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4. SOL 조선TOP3플러스 ETF 상세 정보

  • 기초지수: FnGuide 조선 TOP3 Plus (국내 대표 조선 3사 + 주요 밸류체인 기업)
  • 설정일: 2023년 10월 5일
  • 총 보수율: 약 0.45%
  • 편입종목: 총 17종목
  • 최근 1개월 수익률: 30.7%

이 ETF는 대형 조선사뿐만 아니라 기자재, 부품, 원자재 기업까지 포함해 산업 전반에 고르게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5. 조선업을 움직이는 변수 – 정책과 실적

올해는 특히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국이 자국 조선산업 부흥을 위해 1,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한국 조선업계와의 협력도 강화되고 있죠.
또한 한화오션이 2분기에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3,717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업종 전반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습니다.


6. 투자 스타일별 ETF 선택 팁

  • 테마 집중형: TIGER 조선TOP10 – 대형사 위주의 고집중 포트폴리오
  • 산업 전반 노출형: SOL 조선TOP3플러스 – 조선 3대 기업 + 밸류체인 포함
  • 분산형: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 HANARO Fn조선해운 – 해운업과 병행 투자로 변동성 완화

7. 조선주ETF 투자 시 유의점

조선업은 발주 사이클이 길고, 글로벌 경기·환율·원자재 가격에 민감합니다. 따라서 단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투자 전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
ETF별 구성 종목과 비중을 확인하고, 자신의 투자 목적과 기간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8. 마무리

2025년 현재 조선주ETF는 정책 호재와 업종 회복세 덕분에 매력적인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단기 급등 이후 조정 가능성도 고려해, 분할 매수와 장기적 관점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조선업의 장기 성장 흐름을 믿는 투자자라면, ETF를 활용한 전략적 접근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