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투자에 진심인 저는 주식, 특히 배당주 그리고 경매에 집중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경제시장을 보면 스물스물 코인에 대해 얘기가 엄청 나오고 있습니다. 저는 사실 실물이 없다고 생각하는 코인에는 투자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세계의 금융자산이 코인에 엄청나게 흘러가는 것을 보고 이것은 내가 싫다고 모른다고 투자하지 않기에는 너무 큰 시장이다 싶더라구요. 그래서 이제는 코주부(코인, 주식, 부동산)에 진심이 블로그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2025년 현재, **이더리움(Ethereum)**과 **리플(XRP, Ripple)**은 암호화폐 시장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코인의 기술 현황, 시장 동향, 규제 이슈, 그리고 구체적인 투자 전략을 소개하겠습니다!
이더리움 2025: 확장성과 생태계 강화를 이끄는 중추

PoS 체제 안정화
2022년 말 완료된 Merge 이후,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지분증명(PoS)으로 완전 전환되었습니다. 2025년 현재 활성 검증자는 약 1만 3천 명을 넘어서 네트워크 보안성과 탈중앙화가 대폭 향상되었으며, 스테이킹 연 보상은 4~6%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 중입니다.
레이어2·샤딩 도입 가시화
- EIP-4844(Blob 트랜잭션): 2024년 도입된 이 제안은 레이어2 수수료를 평균 70~80% 절감시켜, 디파이·NFT 거래가 보다 경제적으로 바뀌었습니다.
- Sharding 메인넷 통합: 2025년 하반기 메인넷 샤딩 통합을 목표로 “Verkle Trees” 기반 테스트넷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 용량이 수백 배 늘어날 전망입니다.
디파이·NFT·웹3 생태계 확대
이더리움 디파이 TVL(Total Value Locked)은 2025년 7월 기준 약 3,200억 달러를 기록, 2024년 대비 30% 증가했습니다. 또한 게임Fi와 메타버스를 아우르는 NFT 거래량도 연간 40% 성장하며,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 채택은 여전히 압도적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리플(XRP) 2025: 규제 해소와 금융결제 혁신

SEC 소송 종결 임박
2020년 제기된 미국 SEC 소송은 2025년 4월 교차항소 철회 결정으로 사실상 종결 단계에 들어섰습니다. 이로 인해 XRP는 주요 미국 거래소 상장을 재개했으며, 기관·ETF 도입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RippleNet·ODL 서비스 확장
- RippleNet 회원사: 2025년 현재 글로벌 100여 개 금융기관이 참여, 연간 400만 건 이상의 국경 간 결제를 처리합니다.
- On-Demand Liquidity(ODL): XRP를 중개 통화로 사용해 송금 비용을 평균 65% 절감하며, 실시간 결제 네트워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가격 모멘텀
소송 불확실성 해소 직후인 2025년 5월, XRP 가격은 50% 이상 급등했고, 이후 단기 조정을 거쳐 안정화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올해 연말까지는 기관 ETF 승인 여부가 추가적인 상승 동력이 될 전망입니다.
이더리움 vs 리플: 맞춤형 투자 전략

자산 배분(Allocation)
자산군 | 비중 추천 | 기대 수익률 | 리스크 특성 |
---|---|---|---|
이더리움 | 60% | 연 8~10% | PoS 안정화·샤딩 모멘텀, 중고 변동성 |
리플 | 40% | 연 10~12% | 규제 해소 효과·기관 수요, 중간 변동성 |
60:40 분산투자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확장성과 리플 금융결제 혁신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비중입니다.
매수 타이밍(Timing)
- 이더리움:
- 주요 업그레이드(샤딩 통합, EIP-4844 후속) 전후 저점 매수
- 레이어2 프로젝트(옵티미즘, 아비트럼 등) TVL 급증 시 분할 매수
- 리플:
- SEC 소송 최종 합의 발표 직후
- ETF 승인 뉴스 또는 주요 은행 도입 공시 직후
분할매수 및 DCA
장기 투자자라면 DCA(Dollar-Cost Averaging) 전략으로 매월 일정 금액을 자동 투자해 평균 단가를 낮추고 변동성 리스크를 낮출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및 수익 실현

손절가·익절가 설정
- 손절가: 진입가 대비 이더리움 −15%, 리플 −10% 하락 시 일부 청산
- 익절가: 주요 모멘텀 후 이더리움 +50%, 리플 +60% 수익 시 50% 청산 후 재진입 타이밍 모색
보안 수칙
- 개인 키는 하드웨어 지갑(Ledger, Trezor)에 보관
- 거래소에 장기 보관하지 말고, 페이아웃 즉시 전송 권장
- 2FA(2단계 인증)·주소 화이트리스트 설정으로 해킹 리스크 차단
세금 관리
- 국내 양도차익 연 250만 원 초과분은 22% 분리과세
- 해외 거래소 수익은 환율 수익 포함 신고
- 연말까지 거래 내역·환전 영수증·수수료 영수증 꼼꼼히 정리
결론: 2025년 이더리움·리플의 투자 매력

2025년 이더리움은 PoS 안정화, 샤딩 통합으로 확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디파이·NFT·웹3 수요가 지속 증가 중입니다. 리플은 SEC 소송 해소와 ETF 도입 기대라는 강력한 모멘텀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더리움과 리플을 60:40으로 분산 배분하고, DCA 전략, 손절·익절 원칙을 지켜나간다면,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 속에서도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이 바로 이더리움 투자와 리플 투자를 시작할 최적의 시기입니다.